월루를 꿈꾸는 대학생
aws route53 본문
728x90
route53
ec2, elb , s3 , cloudfront 연동 가능한 dns 서비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dns 서비스 혹은 직접 구축한 dns 서버는 도메인당 ip 주소 한 개만 설정가능 --> 그래서 dns 서버에 쿼리 하면 같은 ip 주소만 알려줌
즉 상황에 따라 도메인 하나를 쿼리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ip 주소를 알려준다
latency based Routing
- 특히 전세계 dns 서버 구축
Weightd Round Robin
- 서버 ip 주소 또는 도메인(ELB) 마다 가중치를 부여하여 트래픽 조절
DNS Failover
- 장애가 발생한 서버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 elb 는 알려주지 않는다
- 따라서 장애일어난 곳으로 안 보냄
route53
- 일반적인 dns는 cname 으로 연결할 때 루트 도메인으로 = example.com 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route53 a 레코드 생성
- a 레코드는 dns 서버에서 ip 주소를 알져주도록 설정
일반 DNS와의 차이점
- ROUTE53에서 할당 받은 네임서버 정보를 도메인 등록기관에 지정해서 사용한다
728x90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DynamaDB (0) | 2020.12.26 |
---|---|
AWS IAM 정의 및 실습 (0) | 2020.12.26 |
AWS lamda로 문자보내기 (0) | 2020.12.25 |
aws 기초 네트워크 작성 0 (0) | 2020.12.24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S3) (0) | 202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