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루를 꿈꾸는 대학생

AWS 서비스와 선택 본문

Cloud/AWS

AWS 서비스와 선택

하즈시 2020. 9. 13. 00:12
728x90

리전

 

- AWS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지역에 여러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 -> 이 지역을 리전!

- 가용영역들의 집합

 

* 리전이 여러 곳에 분포된 이유는? 

  =  아무리 인터넷 빠르더라도 위치가 멀면 느리다! 그래서 세계 곳곳에 리전을 두어 속도를 올림

 


가용영역

 

- 가용용역이 모이고 모여서 리전이 된다!

- 가용영역 = 데이터 센터  // 물리적으로 완전한 독립

 

* EC2 생성하면 ARN 번호가 부여됨 -> 이 번호로 우리가 접근이 가능하고 람다 생성해도 ARN번호는 생성된다 

  ARN 번호로 리전을 분류하지만 가용영역으로는 나누지 않아서 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리전을 바꾸면 ARN 번호가 바껴서 완전히 다른 소스로 인식이 되어버림 ;;

 

- 서울 리전 안에 A , B, C 가용영역이 있다! 즉 데이터 센터 3개가 모여 리전을 이룸 

 

--> 여러 개의 가용영역이 있는 이유 

  지진이나 해일 화재 등 발생시 가동률 혹은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엣지 로케이션 

 

- CDN (Content Delivery Network)를 이루는 캐시서버 -> 즉 캐시 저장해서 속도 더 빠르게 함

- 웹 컨텐츠를 전달하는데 good -> 대구에서 일본 웹사이트 거칠 때 부산에서 한 번 데이터 캐시 저장된 상태라면 더 빠르게 가능하겠지 // 즉 미리 부산에 일본 데이터 저장 시키면 더 빠르게 이용 가능 캐쉬처럼

 


AWS 서비스에 대해서 


 

컴퓨팅 

1. EC2

 

- 종량제 형태로 과금이 되는 가상서버

- EC2로 만든 서버 = 인스턴스 = 1대의 가상서버

-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성능을 구성하여 사용 가능

 

2. 람다

 

- 특정 이벤트를 통해 입력이 발생하면 연산 과정으로 출력을 바꾸는 이벤트 기반의 서비스

- 소스코드로만 사용하는 완전 관리형 컴퓨팅 서비스 - > 관리X

 

3. ECS

 

- 도커 컨테이너 서비스 

 

4. 라이트세일

 

- 완전 관리형 가상 서버 서비스 

- 가상 서버 구축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서비스 -> 클릭 몇 번이면 홈페이지도 완성

 

5. 빈스톡

 

- EC2의 설정을 서포트 해주는 서비스 

- 서버의 런타임 OS환경 관리까지 해주어 개발자의 편리한 환경 제공 

 

 


스토리지

1. S3

 

- 뛰어난 언전성과 보안이 완벽한 스토리지 

- 실제로 가장 만들기 쉽고 이미지 파일이나 정적 웹 호스팅이 가능한 서비스

 

2. 글래시어

 

- S3는 빠르게 처리가 가능하지만 글래시어는 그런 파일이 아닌 백업용에 적합한 서비스 

- 사용빈도가 낮고 크기가 큰 파일이라면 글래시어 즉 빙하에 넣어서 보관한다고 생각하면 될 거 같다 

- 저장 요금은 싸다만 .... 트래픽 요금이 높음;; 주의 요구

 

3.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 기존의 온프레미스와 AWS 연결해주는 게이트웨이 

- 기존 데이터를 AWS 클라우드 상으로 옮기지 않아도 됨 또한 보안성도 우수

 

4. EBS

 

- EC2와 연결할 수 있는 장치 서비스

- EC2의 하드 디스크라고 생각하자!  

- 백업과 복원이 가능 

 


데이터베이스

 

1. RD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높은 가용성과 자동 백업과 복원이 특징

 

2. 다이나모 DB

 

- NO-SQL 기반의 완전 관리형 DB

- 높은 가용성 자동 백업과 복원 , 스케일링 자동 수행 

- 저렴한 비용 

- EX_ 네트워크 로그, 게임이나 IOT같은 대량의 데이터 발생시 적합 

 

 

3. 엘라스틱 캐시

 

- RAM과 같은 역할

-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더욱 빠른 입출력이 가능

- 비쌈;; 

 

4. Red Shift

 

- 완전 관리형 SQL 데이터 웨어 하우스

- 대용량의 정형 데이터 처리 -> 페타바이트 용량의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

 

1. VPC

 

- 가상 네트워크망 --> 네트워크 용어로 하나의 사설망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 권한 있는 사용자들만 접속 - 보안적 측면

 

2. ROUTE53

 

- DNS 서비스 

 

3. CloudFront

 

- 전세계 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미지나 파일등의 정적 컨텐츠들을 최적화 시키는 CDN서비스 

- 엣지 로케이션 서버를 사용해서 컨텐츠 배포 - 비쌈;;

 


인공지능

 

 

1. 폴리

 

- 음성 합성 서비스

- 텍스트 음성으로 바꾸어준다. 

- 비용 발생 

 

2. 렉스 Lex

 

- 대화형 챗봇 서비스 

- 음성과 텍스트 지원 EX_ 아마존 '에코' 

 

3. 레코니그션 Rekognition

 

- 이미지 인식 및 분석 서비스

- 해당 이미지를 분석해서 어떤 사물인지, 어떤 감정을 보여주는지 도출

- ex_ 음란물이나 스팸 등의 부적절한 매체 필터링

 


데이터 분석

 

1. 퀵사이트

 

- Tableau 와 같이 데이터를 시각화 해주는 서비스

 

2. Athena

 

- 서버리스 기반의 SQL 쿼리 서비스 

- S3에 저장된 데이터를 SQL문으로 결과 도출

 

3. CloudSearch

 

- 완전 관리형 검색 서비스

- 수천 억 개 이상의 데이터나 패킷을 30개 국어 이상의 언어별로 처리 

- 해당 데이터를 사용자에 맞게 찾아줌

 

4. EMR

 

-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하둡을 AWS의 여러 서비스와 연동시켜주는 서비스

 

5. Kinesis 

 

- 실시간 데이터 처리 서비스 

- DB나 외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처리 결과 도출

- EX_ 증권, 은행 ->돈의 흐름이 중요한 초 단위 서비스에서 사용 

 

 

 

728x90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세일  (0) 2020.09.13
AWS 시작과 관리 IAM  (0) 2020.09.13
1장 AWS 개념  (0) 2020.09.13
AWS DynamoDB  (0) 2020.09.13
AWS 오토스케일링  (0) 202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