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AWS (42)
월루를 꿈꾸는 대학생
route53 ec2, elb , s3 , cloudfront 연동 가능한 dns 서비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dns 서비스 혹은 직접 구축한 dns 서버는 도메인당 ip 주소 한 개만 설정가능 --> 그래서 dns 서버에 쿼리 하면 같은 ip 주소만 알려줌 즉 상황에 따라 도메인 하나를 쿼리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ip 주소를 알려준다 latency based Routing - 특히 전세계 dns 서버 구축 Weightd Round Robin - 서버 ip 주소 또는 도메인(ELB) 마다 가중치를 부여하여 트래픽 조절 DNS Failover - 장애가 발생한 서버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 elb 는 알려주지 않는다 - 따라서 장애일어난 곳으로 안 보냄 route53 - 일반적인 dns는 cname 으로..
Lamda - 사용자 입장에서 서버를 관리할 필요없이 오로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aws의 모든 서비스는 실행 주체를 명확히 설정해야한다 즉 iam으로 먼저 명확히 해야함 람다함수가 sns 서비스에 접근한 후 람다함수가 사용할 역할과 그 역할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기에 하는 작업 정책을 만들었다면 그 정책과 연동할 역할도 만들어야 함 IAM 에서 중점적으로 생각해야할 부분은 이 역할을 가질 AWS서비스와 그 서비스에 어떤 역할을 부여할지에 대한 정책을 생각해야한다 1. 서비스 주체를 선택 ( AWS 리소스 접근 ) 2. 계정의 범위 ( 루트 혹은 그 외 사용자 ) 3. 인증 4. 보안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증 람다의 경우 웹상에서 자동완성이나 문법을 확인해주는 기능이 있기에 따로 에디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S3 (Simple Storage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구글 드라이브처럼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버킷에 업로드 한 뒤 언제 어디서든 다운 받고 보는 것이 가능함 여기서 할 것은 해당 버킷에 html 파일을 올려두고 다른 사람들도 해당 파일에 접근해서 마치 홈페이지를 보는 듯한 구현을 하는 것이 목표 이제 만들어 둔 버킷에 html 파일 넣어서 액세스 해야하는데 요즘에는 템플릿들이 많으니 아무 템플릿 혹은 직접 만들어서 업로드 하면 ok 업로드 후 해당 버킷의 속성 탭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편집 먼가 이상하게 안 되네;;
IAM으로 사용자 만들기 워드프레스의 AWS 플러그인 사용하려면 해당 사용자의 액세스키가 필요 준비를 했으면 wordpress의 플러그인 추가 평소처럼 글을 쓰다보면 맨 밑에 amazon polly라는 서비스가 생성됨을 확인 할 수 있따 적용하고 글을 게시하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