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AWS (42)
월루를 꿈꾸는 대학생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기본으로 EC2로 인스턴스 만든 후 그 키페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 1. 인스턴스 putty 접속 2. .ppk 파일 필요 -> putty gen으로 바꾸자! 3. 파일 넣기 4. 접속 sudo -s sudo yum install httpd service httpd start chkconfig httpd on 해당 IP로 로그인 하면 HTTP로 접속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AWS는 무료로 프리티어 서비스를 1년간 이용할 수 있습니다. EC2 - T2 Mirco 750 시간 -> 1개의 인스턴스 24시간 가동으로 한달 무료 S3 - 5GB RDS - T2 Micro 750시간 # 그 외 무료로 되는 서비스가 있지만 보통 유료 서비스이기 때문에 알아보고 사용하길 IAM 루트 계정 - ROOT , 즉 모든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 다만 여러 명의 사용자가 루트 계정을 사용한느 것은 보안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IAM이라는 서비스 제공 IAM - ROOT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한적으로 권한을 부여하여 리소스 사용 가능 - 누가 리소스에 접근하는지 -> WHO _ 자격 증명과 어디까지 허용할지 -? WHAT IAM 생성하기 1. 대쉬보드 2. 사용자 추가 클릭 3...
리전 - AWS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지역에 여러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 -> 이 지역을 리전! - 가용영역들의 집합 * 리전이 여러 곳에 분포된 이유는? = 아무리 인터넷 빠르더라도 위치가 멀면 느리다! 그래서 세계 곳곳에 리전을 두어 속도를 올림 가용영역 - 가용용역이 모이고 모여서 리전이 된다! - 가용영역 = 데이터 센터 // 물리적으로 완전한 독립 * EC2 생성하면 ARN 번호가 부여됨 -> 이 번호로 우리가 접근이 가능하고 람다 생성해도 ARN번호는 생성된다 ARN 번호로 리전을 분류하지만 가용영역으로는 나누지 않아서 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리전을 바꾸면 ARN 번호가 바껴서 완전히 다른 소스로 인식이 되어버림 ;; - 서울 리전 안에 A , B, C 가용영역이 있다! 즉 데이터 센터 3..
클라우드 컴퓨팅 현재는 서버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 마다 플랫폼을 통해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로서 소프트웨어 개념이 혼합된 컴퓨팅 인프라의 집합으로 다양한 정보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기술을 뜻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1. 유연한 IT 인프라 관리 2. 신속한 인프라 도입 3. 간편한 글로벌 서비스 4.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 대응 5. 빅데이터, AI 서비스 확장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1. 웹호스팅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용자 수용 및 각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작동 =? PaaS와 비슷 2. 온-프레미스 - 기업이 자체적으로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시스템 구축부터 운영까지 모두 수행 - 초기 비용 부담이 ..
# 확장 가능한 NoSQL 분산 데이터 베이스 제공 NoSQL이며 사용자가 따로 설치 , 운영 확장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 가능 성능 편의성 대규모 DB 구축 비용 절감 읽기 쓰기가 매우 빈번 처리속도가 빨라야 하는 환경 적은 용량의 데이터가 많을 때 고가용성 분산 데이터의 자체 운영이 부담될 때 --> 게임이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유용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복잡한 쿼리와 맞지 않음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 > 테이블 구조 후 데이터 입력 /// 관계를 키를 통해서 = 스키마 /// NOSQL은 스키마가 없어서 비정형 데이터 저장유용 리전별 생성 가능 그리고 1,2014-05-09,2014-05-15
오토스케일링을 해서 웹서버가 그 갯수만큼 생성되도록!!! 하나를 만들면 그 IP가 뜰 거고 새로운 웹 페이지 만들어지더라도 그 웹페이지 접속 하겠지 온라인 쇼핑몰 웹서버 하나 죽어도 자동으로 생성되어서 사용자가 끊임없이 되도록 sudo -s yum install httpd -y service httpd start chkconfig httpd on 해당 인스턴스의 이미지 생성 범용 이미지를 선택해서 이미지 만들 수가 있고 마켓에서도 살 수 있고 내가 만든 거 쓸 수도 있고 !! 해당 이미지가 생김! 자동 생성되는 이미지 맨 밑에 auto scaling 시작 구성 = 템플릿 = 먼가 갯수가 생성 되어야 할 때 임마를 참고해서 생성해라 = 기본틀 그룹은 생성시작 정보를 토대로 몇 개까지 늘리고 줄여라! 아님 ..
ec2 만들면서 붙어진 하드디스크 8기가 - lsblk --> 8 rlrkfkrh skdha 사이즈 변경 가능한데 한 번 변경시 6시간동안 수정 불가 파티션은 16 잡혀있고 쓰는건 8기가 쓰는중 - df -h --> 디렉토리 상세 정보 및 실제 사이즈 점유 사이즌는 얼만지 xvda1이 8기가 쓰는중 -sudo growpart /dev/xvda 1 --- xvda1 의 실제 파티션 8기가를 늘려라! --- xvda의 첫번째 파티션을 늘려라! --> 16기가로 마운트가 됨 파티션하는 단계!! 였다 sudo resize2fs /dev/xvda1 --> 이건 우분투인가 sudo blkid /deb/xvda1 -> type 을 확인 -> type = xfs 이면! 아래의 명령어로 변경 sudo xfs_growfs..